미분류

디지털(Digital)의 무엇을 쓰고 있는걸까? (디지털의 3대 요소 혹은 분류)

디지털(Digital)의 무엇을 쓰고 있는걸까?: 디지털의 3대 요소 혹은 분류
디지털(Digital)이라는 용어는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있고 매순간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Digital) 대해서는 사람마다 설명하는 과정이 다르다.

누군가에게 ‘디지털(Digital)을 지금 어떻게 이용하고 계세요?’ 라고 물어보면 대부분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부분들을 디지털이라는 영역안에서 개념적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디지털(Digital)의 무엇을 쓰고 있는걸까?
많은 고민이 필요하지만 3가지의 단계 혹은 프로세스로 분류할 수 있다.

  • 프로세스 (Process)
  • 서비스 (Service) >= 프로세스 (Process)
  • 플랫폼 (Platform) >= 서비스 (Service) >= 프로세스 (Process)

우선 각각의 설명 이전에 기본 전제 사항에 대해서 설명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Digital)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데이터가 있어야 한다.
예로 들면, 이전에 필기하던 기록들이 ‘01011011000…’ 식으로 구성된 일종의 디지털 언어로 변환이 되어 있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과거에 사람이 아날로그 방식을 통해서 하고 있던 모든 행위들을 현재 전자기기 등을 통하여 하고 있다라고 생각하면 된다.

1. 프로세스(Process)

데이터들을 응용하는 과정이다.
사람이 메뉴얼로 하는 행위를 전산적인 방식을 통해 결과를 이끌어 내는 과정이라고 할 수있다.
예로들면,
a) 숫자를 가지고 계산을 하거나,
b) 배송을 위한 필수 정보(주소, 이름 등)를 전달하거나,
c) 결제 정보를 넘겨주거나,
이런 상황들이다.
위의 방식들은 단순할 수도 있고 복합적일수도 있다.

2. 서비스(Service)

프로세스의 결합이다.
누군가에게는 하나의 프로세스 자체도 서비스가 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각자의 니즈에 필요한 것들을 얻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세스의 조합이라고 볼 수 있다.
예로 들면,
“건강 체크 서비스”는
a) 걸음걸이 수 확인 (데이터화)
b) 걸음걸이 수를 통한 건강 상태 체크
c) 걸음걸이 수를 통한 건강 가이드 제공
위의 3가지 단계로 나눈다고 보았을 때,
각각의 단계는 프로세스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 각각의 프로세스 결합으로써 “건강 체크 서비스 (브랜드명 생략)”가 제공 되는 것이다.

3. 플랫폼(Platform)

서비스의 결합이다.
플랫폼도 서비스와 동일하게 하나의 서비스만으로 플랫폼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가 플랫폼이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서비스의 결합이 플랫폼이 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예를 들면,
“구글”은
a) Analytics (분석 서비스)
b) G-mail (메일 서비스)
c) Search (검색 서비스)
위의 서비스 분류 처럼 각각의 서비스들의 합으로 구성한 하나의 플랫폼이라고 볼 수 있다.
플랫폼이 가지고 있는 유형은 아래와 같다.
– PC WEB
– Mobile WEB
– Mobile Application (APP)
– Kiosk
– Chatbot

위의 설명들을 집으로 비유하자면,
집(플랫폼) > 방(서비스) > 가구+전자제품 등(프로세스) 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Digital)은 보는 시각 및 목적에 따라 설명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위의 3가지만으로 디지털(Digital)에 대한 모든 것들을 설명할 수는 없다. 다만, 위의 내용을 설명하지 않고서는 향후 디지털(Digital)에 대한 이해 및 개념 구성에 어려움을 느낄지도 모른다.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