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TonyAround의 챗봇 트렌드 분석 리포트는 한국 내 뉴스기사 분석과 구글 키워트 트렌드 지표를 활용하여, 한국과 세계의 챗봇 시장이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분석합니다. 주로 연관 키워드를 통하여 챗봇 시장에서 가장 관심있는 영역과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자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 중 하나입니다.
주요 흐름은 아래와 같습니다.
- 챗봇 트렌드 분석 요약
- 전 세계 챗봇 키워드 검색량
- 전 세계 챗봇 키워드 지역별 검색량
- 전 세계 챗봇 관련 주제 (검색 상위 / 최근 떠오르는 주제)
- 전 세계 챗봇 관련 검색어 (검색 상위 / 최근 떠오르는 키워드)
- 국내 챗봇 관련 뉴스기사 키워드 분석 (키워드 관계도 분석)
- 국내 챗봇 관련 뉴스기사 검색량
- 국내 챗봇 관련 뉴스기사 키워드 분석 (워드 클라우드 분석)
[2020년 5월]챗봇 트렌드 분석 리포트 by TonyAround
2020년 5월 챗봇 트렌드 분석 요약
세계 트렌드
챗봇의 검색량은 4월보다 소폭 더 상승한 듯한 분위기입니다.
지난달 대비 눈에 띄는 점은 챗봇에 대한 개발 도구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입니다. PHP나 Node.js 같은 챗봇에서 많이 사용되는 개발 도구들 혹은 언어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실제 런칭하고 있는 챗봇 들이 늘어나고 있다보니 쉽게 개발할 수 있는 도구들이 각광 받는 것 같습니다.
또한 Steamlabs 가 떠오르고 있는데 트위치나 유튜브같은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중 하나로써 채팅창 서비스를 다른 스트리밍 플랫폼과 통합 연계하여 챗봇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여 핫한 것 같습니다. 주목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국내 트렌드
여전히 코로나로 인한 진단 챗봇이나 관련 서비스들이 굉장히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더불어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 챗봇 관련 MOU나 전략 발표들이 등장하면서 검색량을 늘렸습니다.
또한, 최근 대한항공에서 챗봇을 통한 수화물 관련 서비스를 런칭하여 이 부분도 새롭게 키워드로 떠올랐습니다.
챗봇이 신기술 분야로써 정부 지원이 예상되어 있는 만큼 챗봇 키워드가 5월부터 많이 등장하여 6월달에는 상당 부분 정부 관련 정책으로 나타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전 세계 챗봇 키워드 검색량
전 세계 챗봇 키워드 지역별 검색량
전 세계 챗봇 관련 주제 (검색 상위 / 최근 떠오르는 주제)
검색 상위 TOP10
Online chat |
Internet bot |
Artificial intelligence |
Website |
Python |
Customer |
Facebook Messenger |
Service |
GitHub |
GitHub |
최근 떠오르는 주제 TOP10
Chatbox |
Telegram Bot API |
Laravel |
Node.js |
Human voice |
Telegram |
Automation |
Technology |
LiveChat Software |
Software development |
전 세계 챗봇 관련 검색어 (검색 상위 / 최근 떠오르는 키워드)
검색 상위 TOP10
streamlabs |
streamlabs chatbot |
chatbot facebook |
ai chatbot |
chatbot whatsapp |
chat bot |
google chatbot |
chatbot messenger |
chatbot online |
free chatbot |
최근 떠오르는 키워드 TOP10
messenger chatbot maker |
hubspot chatbot |
chatbot companies |
rbl chatbot |
what is a chatbot |
국내 챗봇 관련 뉴스기사 키워드 분석 (키워드 관계도 분석)

국내 챗봇 관련 뉴스기사 키워드 분석 (워드 클라우드 분석)

[2020년 5월]챗봇 트렌드 분석 리포트 by TonyAround
챗봇 관련 글 모음:
- 챗봇 준비 단계: 비즈니스 분석
- 챗봇 준비 단계: 서비스 분석
- 챗봇 준비 단계: 고객 분석
- 챗봇 준비 단계: 경쟁사 및 시장 분석
- 챗봇 기획 단계: 플랫폼 선정 (UI: User Interface / Front-end)
- 챗봇 기획 단계: 챗봇의 5가지 대표 유형/종류
- 챗봇 트렌드 2020: 총 정리 및 요약 (프롤로그 / 에필로그)
- 챗봇을 통한 온라인 채널 비즈니스의 혁명
- 사용자가 인공지능 챗봇을 잘 활용하는 5가지 방법
- 챗봇 비즈니스 목적의 4가지 유형: 챗봇의 역할/목적성에 대한 고찰
- 코로나19로 알아보는 챗봇의 특징과 가치
- 인공지능 챗봇의 숨겨진 힘: Annotation(주석달기)
- 인공지능 버블의 시작인가?
- Case Study: 카카오 뉴스봇
- [2020년 3월]챗봇 트렌드 분석 리포트 by TonyAround
- 4차산업혁명이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으로 인하여 미래에 사라질 직업 TOP10
-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준비 역량 TOP 5
- 미래에 요구되는 기술 TOP 10 by Microsoft
- 메신저와 챗봇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 인공지능(AI) 스피커와 디지털 비즈니스의 이해
- 인공지능은 기술로부터 오지 않는다
- 챗봇 카테고리 관련 글 모음
관련 외부 자료:
- AI·VR 접목 ‘지능형 과학실’ 모든 학교에 만든다
- “전국 초중교의 AI교육 역량 높인다”…AI교육교사 연구회 ‘시동’
- 고대의대, 의료 인공지능 주제로 세계 9개 의대와 온라인 하계 캠프 개최
- “수포자는 없다”…AI선생님이 학습진단·맞춤교육
- 앞당겨진 비대면 유통 시대…AI 없이 혁신도 없다
- [홍승희 칼럼] 인공지능 시대의 함의
-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을 선도하는 교사연구회 운영
- [인공지능시대 미래교육] “말하는 학습법(Speaking learning)이 대안이다”
- 광주 인공지능사관학교 7월 문 연다…150여명 인재 양성
- 한림대, 인공지능융합학부 신설
- [인공지능시대 미래교육] 이제 ‘하이브리드 러닝'(Hybrid Learning)으로!
- 국내 인공지능(AI) 반도체 설계 역량을 총 결집해 인공지능(AI) 반도체 1등 국가에 나선다
- [인공지능시대 미래교육] 한국인의 저력…”이제는 K-edu 시대”
- [줌 인 피플] “AI 분야에 역량 집중할 것”
- 케이무크에 인공지능 강좌 집중 개설
- 미래 준비하는 현대차 “인공지능 인재 상시 채용”
- [주간 클라우드 동향] 클라우드 전환 대기업 SI, 역량 확보 안간힘
- 인공지능(AI) 국가전략 발표
- MS, 인공지능이 일자리에 주는 영향 분석한 백서 선보여
- 인공지능 전문가 양성 ‘날개’ 달았다
- 문 대통령, 인공지능(AI) 1등 국가 선포…경제산업 혁신·성장 돌파구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공식 출범…”인공지능 생태계 확대”
- [인공지능 365] “AI가 주는 생활 속 편리함 누려보세요”
- 네이버, 글로벌 인공지능 연구 벨트 조성한다
- [기고] 인공지능(AI)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 [미래포럼]인공지능(AI)과 세계경제
- 정부 고용유지기업 지원 강화, 이재갑 “일자리 지키기에 역량 집중”
- 文대통령 “경제 ‘전시상황’, 위기 극복에 모든 역량 집중”
- “한국판 뉴딜로 일자리 창출…제재 무관한 남북사업 찾아야”
- 2020년 인공지능(AI) 기술시장에서 주목받는 5대 핵심이슈
- 정부,인공지능(AI) 국가전략…’IT 강국을 넘어 AI 강국으로’
- 광주 인공지능사관학교 7월 문 연다…150여명 인재 양성
- 한림대, 인공지능융합학부 신설
- [인공지능시대 미래교육] 이제 ‘하이브리드 러닝'(Hybrid Learning)으로!
- 국내 인공지능(AI) 반도체 설계 역량을 총 결집해 인공지능(AI) 반도체 1등 국가에 나선다
- [인공지능시대 미래교육] 한국인의 저력…”이제는 K-edu 시대”
- [줌 인 피플] “AI 분야에 역량 집중할 것”
- 케이무크에 인공지능 강좌 집중 개설
- 미래 준비하는 현대차 “인공지능 인재 상시 채용”
- [주간 클라우드 동향] 클라우드 전환 대기업 SI, 역량 확보 안간힘
- 인공지능(AI) 국가전략 발표
- MS, 인공지능이 일자리에 주는 영향 분석한 백서 선보여
- 인공지능 전문가 양성 ‘날개’ 달았다
- 문 대통령, 인공지능(AI) 1등 국가 선포…경제산업 혁신·성장 돌파구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공식 출범…”인공지능 생태계 확대”
- [인공지능 365] “AI가 주는 생활 속 편리함 누려보세요”
- 네이버, 글로벌 인공지능 연구 벨트 조성한다
- [기고] 인공지능(AI)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